본문 바로가기

주식보조지표2

스토캐스틱(Stochastic)이란? 초보도 쉽게 배우 보조지표 “이 주식, 지금 너무 오른 걸까? 혹시 반등이 올까?”이런 고민을 할 때, 스토캐스틱(Stochastic) 지표는 매우 유용한 힌트를 줍니다. 스토캐스틱은 주가의 '위치'를 판단하여 과매수(너무 오른 상태)인지, 과매도(너무 떨어진 상태)인지를 알려주는 대표적인 기술적 보조지표예요.🔍 스토캐스틱은 어떤 지표일까? 스토캐스틱은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중, 현재 가격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0~100 사이의 숫자로 나타내요.상대적인 ‘위치’를 분석하는 것이 핵심이죠.예: 최근 14일 동안 가장 높았던 주가가 10만 원이고, 가장 낮았던 주가가 8만 원인데, 현재가가 9만 원이라면? → 중간 지점(50)에 가까운 수치가 나오게 됩니다.이런 방식으로 계산된 %K와 %D 두 가지 선이 존재하며, 이 둘의 교차.. 2025. 4. 16.
RSI(Relative Strength Index)란? 초보도 쉽게 배우는 투자 보조지표 주식을 하다 보면 "이 종목, 지금 사도 될까?" 또는 "이미 너무 오른 건 아닐까?" 하는 고민이 들죠. 이런 타이밍을 판단할 때 도움이 되는 것이 바로 보조지표인데, 그중 가장 많이 쓰이는 지표 중 하나가 바로 RSI(Relative Strength Index, 상대강도지수)입니다.RSI는 단어 그대로 ‘주가의 상승과 하락의 강도’를 상대적으로 비교해서, 현재 과매수인지 과매도인지를 알려주는 지표예요. 쉽게 말해, 최근 며칠 동안 너무 올랐는지(=과열), 너무 떨어졌는지(=저평가)를 숫자로 보여줘요.🔍 RSI는 어떻게 계산될까?보통 RSI는 14일 기준으로 계산해요.주가가 오른 날과 내린 날의 강도를 비교해서 0~100 사이의 숫자로 나타납니다.RSI가 70 이상: 과매수 상태일 가능성이 높아요.→.. 2025. 4. 15.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