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주식&ETF

부채비율, 당좌비율, 유보율이 뭐길래? 재무제표로 보는 기업 체력 진단법!

by 재테크하는효숭 2025. 6. 12.
728x90
반응형

반응형
728x90

📌 부채비율이란?

부채비율은 기업이 보유한 자본 대비 얼마나 많은 부채를 가지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
계산식: 부채 ÷ 자기자본 × 100(%)

 

  • 예를 들어 부채가 100억, 자기자본이 50억이면 부채비율은 200%입니다.
  •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이 낮을수록 기업의 재무 안정성이 높다고 평가됩니다.
  • 업종마다 기준이 다른데, 제조업은 200% 이하, 금융업은 400% 이하가 무난한 수준입니다.

 

📌 당좌비율이란?

 

당좌비율은 기업이 현재 보유한 현금성 자산으로 단기 부채를 얼마나 갚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
계산식: (현금 + 단기금융자산 + 매출채권 등) ÷ 유동부채 × 100(%)

 

  • 100% 이상이면 단기 지급 능력이 안정적이라는 뜻이고,
  • 70% 미만이면 유동성 위기 가능성이 있습니다.
  • 부채보다 현금이 많아도 당좌비율이 낮으면 불안한 기업입니다.

 

📌 유보율이란?

 

유보율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 중에서 배당하지 않고 쌓아둔 이익잉여금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냅니다.

계산식: 이익잉여금 ÷ 자본금 × 100(%)

 

  • 유보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미래 투자나 위기에 대비해 내부 자금을 축적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.
  • 하지만 너무 높으면 배당을 하지 않고 자금을 쌓아두기만 한다는 비판도 있습니다.

 

 

✅ 투자와 경영 판단에 어떻게 활용할까?

이 세 가지 지표는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.

부채비율이 낮고, 당좌비율이 높으며, 유보율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재무적으로 매우 안정적인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
반면 부채비율이 지나치게 높고, 당좌비율이 100% 미만이며, 유보율이 낮다면 위험 신호로 해석할 수 있죠.

 

🔍 결론: 숫자 속에 숨겨진 기업의 체력을 읽자

이제 막 주식 투자를 시작했거나 사업을 준비 중이라면 이 세 가지 지표를 통해 기업의 건강 상태를 파악해보세요. 단순히 ‘수익이 많다’는 이유만으로 투자하기보다는, 지속 가능성과 안정성을 따지는 습관이 장기적으로 더 큰 수익을 만들어줄 것입니다.

 

 

 

📊 지금 내 투자 기업 재무제표 분석해보기 

 

전자공시시스템

많이 본 문서 최근 3영업일 기준 가장 많이 본 공시를 보여줍니다.

dart.fss.or.kr

 

 

728x90
반응형